본문영역 바로가기
-
'나마스떼 K-핀테크'…13억 인도인 생활금융 플랫폼 안착
밸런스히어로, 코로나 위기 뚫고 인도서 소액대출 등 디지털 렌딩 사업 본격화국내 핀테크 스타트업 밸런스히어로가 13억명의 인도인을 대상으로 소액대출 등 디지털 렌딩 사업을 본격화하고 있다. 지난해 코로나19(COVID-19)로 사실상 사업을 중단했던 위기에서 벗어나 현지 금융사들과 손잡고 1000만달러(113억원) 대출자금을 확보했다. 수익성이 높은 대출사업이 빠르게 확대되면서 연내 손익분기점(BEP)을 달성한다는 목표도 세웠다.16일 밸런스히어로에 따르면 올해 3월까지 인도 디지털 소액대출 누적 취급액은 750억원을 넘었다. 하루...
2021.04.16 09:00
이민하 기자
-
독수리 둥지서 자란 '로봇치킨'…스케일업 날개 달았다
‘스타트업 발상지’ 미국에서는 하버드, 스탠퍼드,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 등 주요 대학들이 학생 창업을 이끌고 있다. 기업가정신 교육부터 외부 투자유치까지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국내 대학들도 상아탑의 틀에서 벗어나 변화하고 있다. 실리콘밸리 같은 무대를 꿈꾸며 혁신 창업생태계로 변신하는 ‘유니밸리’(University+Valley)를 집중 조명한다. 1인 외식창업가 솔루션 "롸버트치킨"...반죽부터 튀김까지 알아서 "뚝딱" [유니밸리-①연세대학교]강지영 로보아르테 대표 "1인 외식 창업자 위한 다양한 로봇 솔루션 선보...
2021.04.16 08:02
이민하 기자
-
작은 구멍이 큰둑 허문다… 잘나가는 대형사들 ESG '빨간불'
[대한민국 상장사 ESG 리스크 대해부 ①] 2 - 개별기업 ESG 통합점수 및 리스크 총론깨진 독에 물을 계속 퍼넣어도 금세 새나가기 마련이다. 리스크 관리가 제대로 되지 않으면 잘했던 성과들이 그만큼 퇴색된다. 머니투데이는 빅데이터·AI(인공지능) 기반 ESG 평가기관인 지속가능발전소와 함께 시가총액 상위 주요 종목들과 섹터별 주요 기업의 ESG 성과점수 순위 및 리스크 요인을 반영한 ESG 통합점수 순위를 공개한다.국내 증시 시가총액 상위 20개사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리스크 평균이 "매우 높음" 수준으로 나타났다. ...
2021.04.15 16:46
황국상 기자, 정인지 기자, 김영상 기자
-
카카오 계열사수 105개로 '국내 2위'…재벌 뺨때리는 무한확장
[MT리포트] 카카오, 혁신과 포식사이 - ③'카카오식 혁신'이 시험대에 올랐다. 5000만 국민이 활용하는 카카오톡이라는 압도적 플랫폼을 앞세워 다양한 산업군으로 공격적 확장에 나서는 가운데 곳곳에서 파열음이 나온다. 이른바 '갑카오' 논란이다. 카카오모빌리티의 유료화에 택시업계가 반발하는 게 대표적이다. 금융권에서도 카카오페이·카카오뱅크 등이 기존 업권과 충돌하고 있다. 혁신기업으로 주목 받아온 카카오가 본격적인 포식성을 드러냈다는 평가와 함께 카카오 경계령도 커졌다. 카카오의 사업확장 과정에서 빚어진 마찰상과 이에 대한 전문...
2021.04.15 16:44
이동우 기자
-
독수리 둥지 위로 날아간 스타트업…'차세대 유니콘' 비상
‘스타트업 발상지’ 미국에서는 하버드, 스탠퍼드,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 등 주요 대학들이 학생 창업을 이끌고 있다. 기업가정신 교육부터 외부 투자유치까지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국내 대학들도 상아탑의 틀에서 벗어나 변화하고 있다. 실리콘밸리 같은 무대를 꿈꾸며 혁신 창업생태계로 변신하는 ‘유니밸리’(University+Valley)를 집중 조명한다.차세대 유니콘 "지그재그·번개장터" 키운 "독수리 솔루션"[유니밸리-①연세대학교]손홍규 창업지원단 단장 "출신 학교 넘어 대학 "창업 동문" 만든다"최근 카카오가 ...
2021.04.15 10:51
이민하 기자
-
네이버도 반한 '로봇치킨'…반죽부터 튀김까지 알아서 '뚝딱'
[유니밸리-연세대학교 1-3]강지영 로보아르테 대표 "1인 외식 창업자 위한 다양한 로봇 솔루션 선보일 것"번개장터, 밀리의서재, 지그재그, 피플바이오. 연세대학교 창업지원단에서 꿈을 시작해 각 분야에서 맹활약 중인 유망 스타트업들이다. 독수리 둥지에서 비상을 꿈꾸는 스타트업들을 차례로 소개한다."자영업자들의 "레드오션"인 치킨집 사업 환경을 바꾸고 싶었어요. 막연하게 임대료나 인건비를 줄이는 차원이 아니라 점주 혼자서도 매장을 운영하면서 수익을 낼 수 있는 새로운 장사 방법을 만들고 있습니다."강지영 로보아르테 ...
2021.04.15 09:00
이민하 기자
-
"정의선 투자선구안 통했다"..동남아 우버 '그랩' 상장에 대박
동남아시아 "우버"로 불리며 현지 모빌리티(이동수단) 서비스를 이끌고 있는 "그랩(Grab)"이 상장을 추진하면서 일찌감치 투자에 나선 현대자동차도 수혜주로 부각되고 있다. 14일 관련업계와 외신 등에 따르며 차량 호출·배달 플랫폼 업체 그랩은 이날 벤처캐피탈 알티미터캐피탈의 스팩(SPAC·비상장기업 인수합병을 목적으로 하는 서류상 회사) "알티미터그로스"와 합병에 합의했다. 합병 회사의 기업 가치는 396억달러(약 44조5000억원)로 스팩 합병 사상 최대가로 평가받았다. 2019년 10월 그랩의 기업 가치(150억달러)와 비교해...
2021.04.14 17:08
최석환 기자
-
토목공학도가 만든 정밀지도…자율차 쾌속질주 돕는다
[유니밸리-연세대학교 1-2] 박일석 스트리스 대표 "정밀지도 측청 H/W부터 S/W까지 자체 개발"번개장터, 밀리의서재, 지그재그, 피플바이오. 연세대학교 창업지원단에서 꿈을 시작해 각 분야에서 맹활약 중인 유망 스타트업들이다. 독수리 둥지에서 비상을 꿈꾸는 스타트업들을 차례로 소개한다."원래 저는 토목 전공 건설환경공학도였습니다. 평소 지도 계측에 관심은 많았지만 취미 수준으로만 생각했기 때문에 진짜 자율주행에 쓰이는 정밀지도를 만들게 될 거라는 상상 조차 못 해봤습니다."박일석 스트리스 대표(사진)는 최근 머...
2021.04.14 16:23
이민하 기자
-
의사·변호사·교사, '사짜' 버리고 스타트업으로 '대박'
의사·변호사 등 ‘사’자로 끝나는 직업이 갖는 전문성은 남다르다. 고액 연봉과 사회적 지위가 보장돼 직업에 귀천이 없다는 말을 무색하게 한다. 4차 산업혁명으로 새로운 유망 직종들이 생겨나고 있지만 이들은 여전히 선망의 대상이다. 하지만 최근에는 힘들게 획득한 사자 직업을 버리고 스타트업을 창업하는 사례가 늘고 있다. 자신의 전문성을 기반으로 헬시테크·리걸테크·에듀테크 등을 사업화하며 ‘통하는’ 아이템으로 시장을 공략하고 있어 눈길을 끈다. 벤처투자업계 관계자는 12일 “특정 분야에서 쌓은 전문 지식과 인사이트를 갖고 소비자들의 불...
2021.04.14 10:34
최태범 기자
-
판교 '5G·AI 스타트업 요람' 도약…한국판 구글·애플 키운다
국내 스타트업의 요람 ‘판교 테크노밸리’가 5세대(5G) 이동통신과 인공지능(AI) 등 더욱 고도화된 기술기반 창업공간으로 도약한다. 판교를 거쳐 ‘한국판 구글·애플’이 대거 탄생할 수 있을지 주목된다. 14일 경기도에 따르면 판교 스타트업캠퍼스에 조성되는 약 1455㎡ 규모의 ‘디지털 오픈랩’이 오는 7월 문을 연다. 디지털 오픈랩은 중소 벤처·스타트업의 5G·AI 등 정보통신기술(ICT) 신산업 육성을 목표로 하는 혁신 공간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공모한 ‘열린혁신 디지털 오픈랩 사업’에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이 주관기관으로 선정...
2021.04.14 06:30
최태범 기자
-
1회 충전에 800km…'꿈의 배터리' 난제 풀고 내닫는 삼성SDI
[MT리포트]K배터리 '루즈(Lose)·루즈'에서 '윈(Win)·윈'으로 (下)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간의 '세기의 소송'이 2조원의 보상금에 합의하면서 마무리됐다. 불확실성 해소로 시장은 환호했지만 소송 과정에서 잃은 것도 많다. 소송의 짐을 털고 다시 뛰는 한국 배터리 산업의 경쟁력과 풀어야할 과제를 짚어본다.━1번 충전에 800km 주행…"꿈의 배터리" 韓 어디까지 왔나━전기차 시대가 본격적으로 열리면서 배터리 기술도 나날이 진화하고 있다. 현재는 "각형", "파우치형", "원형" 등 리튬이온배터리의 형태를 두고 배터리...
2021.04.13 16:32
최민경 기자, 장덕진 기자, 안재용 기자
-
[현장+]LG·SK 합의에 너무 많이 등장한 미국이 불편한 이유
"한미 양국 전기차 배터리 산업 발전을 위해 건전한 경쟁과 우호적인 협력을 하기로 했다""미국 정부가 추진하고 있는 배터리 공급망 강화 및 이를 통한 친환경 정책에 공동으로 노력하기로 했다" (이상 LG에너지솔루션·SK이노베이션의 공동 입장문 中에서)LG에너지솔루션과 SK이노베이션이 만 2년을 끌어온 소송전을 합의로 마무리했다. 지난 11일 양사는 "미국 국제무역위원회(ITC)에서 진행되고 있는 배터리 분쟁을 모두 종식키로 합의했다"며 "이번 합의를 통해 SK이노베이션이...
2021.04.13 16:30
김성은 기자
-
'싱크홀' 잡는 똑똑한 앱…건설사 마음도 잡았다
[스타트UP스토리]건설硏 1호 연구소기업 재난안전기술, 김영찬 대표·백용 복합재난대응연구센터장“우리나라는 국토가 좁고 인구 밀집도는 높아 초고층·지하연계 빌딩을 계속 지을 수 밖에 없어요. 회사가 계속 커 갈 수 있는 시장이 그만큼 있는 거죠.”김영찬 재난안전기술 대표(사진), 백용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이하 건설연) 복합재난대응연구센터장(사진)은 최근 머니투데이와 인터뷰에서 “국내에서 20m 이상의 굴착 공사는 1년에 약 1600건 이뤄지고, 50층 이상 초고층 빌딩은 110개 정도로 수로 따지면 전 세계 3위 수준”이라며 재난안전기...
2021.04.12 19:00
류준영 기자
-
그룹 미래 달렸다…총수들이 직접 챙기는 '에너지 화폐'
['탄소제로'로 진화하는 그린뉴딜]총론-②수소 경제 육성 등 국가 미래를 좌우할 그린뉴딜 정책과 함께하고 있는 머니투데이가 을 슬로건으로 올해도 다양한 기획 기사와 행사를 선보입니다. 선택을 넘어 생존과 미래를 걸고 세계 시장에 출사표를 던진 우리나라 대표 기업들과 정부, 공공기관, 지차체들이 그리는 K-그린뉴딜의 청사진을 머니투데이를 통해 확인하시기 바랍니다.“수소는 에너지원일 뿐만 아니라 에너지의 저장체로도 활용할 수 있어 탄소중립 시대의 ‘에너지 화폐’ 역할을 수행할 것으로 기대한다.”(정의선 현대차그룹 회장)"수소는...
2021.04.12 14:49
최석환 기자
-
차세대 유니콘 '지그재그·번개장터' 키운 '독수리 솔루션'
[유니밸리-연세대학교 1-1]손홍규 창업지원단 단장 "출신 학교 넘어 대학 '창업 동문' 만든다"'스타트업 발상지' 미국에서는 하버드, 스탠퍼드, 메사추세츠공과대학(MIT) 등 주요 대학들이 학생 창업을 이끌고 있다. 기업가정신 교육부터 외부 투자유치까지 주도적인 역할을 한다. 국내 대학들도 상아탑의 틀에서 벗어나 변화하고 있다. 실리콘밸리 같은 무대를 꿈꾸며 혁신 창업생태계로 변신하는 '유니밸리'(University+Valley)를 집중 조명한다.최근 카카오가 인수를 추진 중인 여성 의류 분야 차세대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 ...
2021.04.12 05:30
이민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