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영역 바로가기
-
금값은 왜 (안) 오르는가? ③
요즘 금값이 계속 화제입니다. 많이 뛰어오르니까 더욱 더 관심을 받는 것이겠죠.그런데 최근 들어서는 금 오름세가 주춤해진 상태입니다. 5월말부터 한달동안 강력한 상승세를 타더니 그 뒤로 한달은 옆걸음을 하고 있습니다. 금값은 왜 안 오르는 것일까요?이번에도 역시 실질 금리, 미국 물가연동국채 수익률과 관련이 ...
안근모 글로벌모니터 편집장  |  2019.09.26 12:51눈에 보이는 경제
-
금값은 왜 (안) 오르는가? ②
지난 편에서는 금 가격이 미국 실질 금리 변동에 의해 움직이는 원리를 설명해 드렸습니다.그런데 여기에서 새로운 궁금증이 생깁니다. 금은 실질(real) 수익률이 0%밖에 되지 않는데 왜 사람들은 투자하려고 할까?정답은 ‘값이 오르기 때문’입니다. 배당을 한 푼도 안 주는 주식이지만 그 주식의 가격이 오른다면 사...
안근모 글로벌모니터 편집장  |  2019.09.26 06:48눈에 보이는 경제
-
금값은 왜 (안) 오르는가? ①
국제 금 시장이 요즘 뜨겁습니다. 지난 5년간 강력한 저항선으로 작용했던 온스당 1350달러선을 뚫어내더니 1400달러까지 가뿐하게 넘어섰습니다. 값이 올라가는 속도 역시 아주 파죽지세입니다. 위 그래프를 보면 거의 수직으로 솟구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금은 세상이 어지럽거나 인플레이션이 우려될 때 주목받는 ...
안근모 글로벌모니터 편집장  |  2019.09.25 18:46눈에 보이는 경제
-
"독박육아 했더니 둘째는…" 출산율 낮은 나라들의 공통점
최근 초등 2학년생 딸을 둔 지인을 만났을 때 혹시 둘째 아이 생각은 없는지 물어볼 기회가 있었다. 이에 지인은 아내가 하나 키우는 것도 너무 힘들다며 둘째는 낳지 말자고 했다고 웃으며 말했다. 필자도 입장이 비슷하다. 둘째를 낳고 싶은 마음이 한 동안 있었던 필자의 아내도 이제는 둘째 아이 출산에 대해 부담스러워하고 있다.이처럼 아이가 하나만 있는 가정에서 남성은 둘째를 원하는 경우가 적지 않게 있지만, 출산을 직접 겪어야 하고 육아의 대부분을 책임지는 여성은 망설이는 경우가 많다.지난 해 우리나라 합계 출산율은 0.98명에 불
김재현 이코노미스트  |  2019.09.25 18:00고수의 휴리스틱스
-
정크본드의 수익률이 마이너스?
이번에는 마이너스 수익률로 거래되고 있는 정크본드에 관해 얘기해 보겠습니다. 눈을 의심하시는 분들도 있겠습니다만, 제대로 보신 게 맞습니다. 투자부적격 신용등급을 받은, 그래서 일명 쓰레기(junk) 취급을 받는 회사의 채권 즉 정크본드가 마이너스 수익률입니다.블룸버그에 따르면, 지난 7...
안근모 글로벌모니터 편집장  |  2019.09.25 12:42눈에 보이는 경제
-
'연 최고 6.3%'…9월 중간배당 하는 기업 어디?
중간배당이라고 하면 보통 6월 중간배당을 떠올린다. 그러나 9월에 또 중간배당을 받을 기회가 있다는 사실을 아는 투자자들이 그리 많지 않다.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 6월 중간배당을 지급한 상장기업은 코스피와 코스닥 통틀어 총 50개사가 넘지만 9월 중간배당을 지급한다고 밝힌 상장기업은 16개사에 불과할 만큼 그 숫자가 적다. 삼성전자는 아직 9월 분기배당을 위한 주주명부폐쇄결정 공시를 내지 않았지만, 올해 9월 분기배당을 실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투자자들이 9월 중간배당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이유는 올해 들어 시중금리가 가파르게 하
이코노미스트실  |  2019.09.25 10:05TOM 칼럼
-
그리스 국채 수익률이 미국보다 낮다?
지난 편에서는 유로존을 중심으로 확대되고 있는 마이너스 금리 현상을 소개해 드렸습니다. 기둥이 되는 독일 채권의 수익률이 마이너스 깊은 곳으로 곤두박질 치다 보니 그 주변에 포진해 있는 다른 채권들의 수익률도 급전직하하고 있다는 얘기였습니다.그러한 채권들 중에 이탈리아와 그리스 국채도 포함되어 ...
안근모 글로벌모니터 편집장  |  2019.09.25 06:38눈에 보이는 경제
-
‘마이너스(-) 금리’ 채권 어느덧 12조달러
마이너스(-) 금리는 이제 놀랍지도 않은 현상이 되어 버렸습니다. 적지 않은 나라의 중앙은행들이 기준금리를 마이너스로 운영하기 시작한 지 벌써 수년째 되었고요.그럼에도 불구하고 마이너스 금리는 여전히 우리 상식과 직관에는 거슬리고 이해할 수 없는 일입니다. 아니 어떻게 돈을 빌려준 사람이 이자까지 내야 한다...
안근모 글로벌모니터 편집장  |  2019.09.24 18:34눈에 보이는 경제
-
사우디 피격, 국제 원유시장 초유의 사태②
사우디아라비아 원유시설이 피격되기 직전에만 해도 산유국들의 고민거리는 ‘공급과잉’이었습니다. OPEC이 러시아 등과 손잡고 생산량을 대폭 줄였음에도 불구하고 전세계 원유재고는 쉽게 줄어들지 않았습니다. 재고는 많고 놀고 있는 원유생산 시설도 많으니 유가가 쉽게 오르기 어려운 구조였습니다.이 배경에는 ...
안근모 글로벌모니터 편집장  |  2019.09.24 12:07눈에 보이는 경제
-
한국의 일제 불매운동, 日 9개월 수출 감소세에 한몫
미중 무역전쟁이 장기화되는 등 대외여건의 불확실성이 지속되면서 한중일 3국의 수출도 지지부진한 국면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8월 우리나라 수출은 전년 동월 대비 13.6% 감소했으며 같은 기간 일본은 8.2% 감소했다. 수출 감소폭은 우리나라가 컸지만, 일본은 전월(-1.5%) 대비 하락폭이 더 가파랐다. 오히려 미중 무...
김재현 이코노미스트  |  2019.09.23 18:00고수의 휴리스틱스